□ 추진배경
○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서울시 소재 그룹홈 아동·청소년의 내면적 불안감 감소와 자기효능감 증진을
통한 심리적 안정 및 진로 결정이 가능한 내적 근력 육성
○ 그룹홈 양육자의 아동에 대한 이해와 정서적 양육기술 능력 향상
□ 추진내용
○ 그룹홈 아동·청소년 집단매체치료 20회기
○ 그룹홈 양육자 1대1 면담 6회기
○ 오리엔테이션, 중간·종결평가회 각 1회
□ 추진방법
○ 협력기관 공모·선정 후 해당 기관에서 치료사 추천받아 대상자와 연결
○ 치료사가 그룹홈에 방문하여 집단매체치료, 양육자 면담 진행
○ 오리엔테이션 통해 사업 목적 및 필요서류 작성법 이해
○ 중간·종결평가회 통해 사례 공유 및 사업 개선사항 논의
□ 모집요건
○ 협력기관
- 치료매체 : 독서, 동작, 드라마, 미술
- 하단의 ‘자격 및 경력’ 요건을 충족하는 치료사 소속 단체
- 치료사의 그룹홈 방문 가능 단체 (서울 지역)
- 3년간(2022~2024년) 참여 지속 가능 단체
- 사회공헌 또는 그룹홈 관련 활동 경험 있는 단체 우대
○ 치료사 자격 및 경력
- 해당 매체치료 관련 자격증 1급+아동 치료 임상경험 3년 이상
- 해당 매체치료 관련 자격증 2급+아동 치료 임상경험 5년 이상
□ 추진절차
진행내용
|
기간
|
추진방법
|
비고
|
협력기관 모집
|
3월
|
매체치료 전문기관에 홍보
|
분야별 1개 기관
|
치료사 추천 및
대상자 매칭
|
3~4월
|
매체치료 전문기관 통해
추천받은 치료사와 대상자 연결
|
추천서, 이력서,
통장사본 제출
|
오리엔테이션
|
4월
|
사업내용 및 진행과정 안내
|
|
집단매체치료
20회기
|
5~11월
|
* 청소년 : 초등3~고등3
주 1회, 90~120분 진행
|
일지 및 사진 제출
|
* 아동 : 미취학~초등3
주 1회, 60~90분 진행
|
양육자 면담 6회기
|
5~11월
|
월 1회, 50분 진행
|
일지 제출
|
중간평가회
|
8월
|
사례 중간 공유 및 하반기 계획 논의
|
중간보고서 제출
|
종결평가회
|
12월
|
사례 최종 공유 및 개선사항 논의
|
종결보고서,
사전․사후척도 제출
|
치료확인서
|
12월
|
치료 총평, 내용 포함된 확인서
|
그룹홈 발급서류
|
□ 모집개요
○ 모집기간 : 2022. 3. 24.(목)~2022. 3. 31.(목)
○ 신청방법 : 기관 참여신청서 메일 제출 (붙임서류 참고)
○ 이 메 일 : miheelee@seoulcenter.org
※ 추후, 참여 확정된 기관은 치료사 추천 관련 서류 제출 예정
□ 강사비 지급기준
○ 강사비 (1회기)
- 청소년 200,000원(90~120분) / 아동 130,000원(60~90분)
- 양육자 80,000원(50분)
○ 강사비에 재료비 포함
○ 개인이 강사비 수령 시, 원천징수(8.8%) 후 지급
□ 주체별 역할
|
|
|
|
|
|
서울시
아동공동생활가정
지원센터
|
|
․ 협력기관 모집·선정
․ 치료 진행 관련 행정업무
․ 치료사 강사비 지급
․ 치료사와 그룹홈 간 소통창구
․ 후원사(흥국생명) 관련 업무
|
|
|
|
|
|
|
|
|
협력기관
|
|
․ 치료사 모집·추천
․ 치료사에게 임상경험 기회 제공
|
|
|
|
|
|
|
|
|
치료사
|
|
․ 그룹홈 방문하여 집단매체치료·양육자면담 진행
․ 지원센터와 치료회기 기록지 공유
․ 오리엔테이션 및 평가회 참여
|
|
|
|
붙임 참여 신청서 서식 1부. 끝.